전체 글
-
[express] res.render / res.redirect카테고리 없음 2023. 4. 16. 16:07
1. 목적 - res.render과 res.redirect를 번갈아가면서 쓰고 있는데, 이렇게 하는 이유가 있었던 것같은데 자꾸 명확하게 기억이 안나 간단히 정리하려고 한다. 2. res.render view나 HTML string을 클라이언트한데 render할 때 사용 1) 형식 res.render(view, [,locals], [,callback]) - locals : render됨과 함께 보낼 로컬변수 - callback : 말 그대로 콜백 함수 err 메시지와 템플릿의 html 반환 res.render('user', { name: 'jaeyun' }, function (err, html) { // ... }) 3. res.redirect - HTTP status의 값을 path에 지정하여 path..
-
-
[js] callback, promise, async & await카테고리 없음 2023. 3. 28. 17:32
1. Js 특징 : 동기처리(Synchronous) ( vs 비동기(Asynchronous)) 1) 동기처리 와 비동기 처리 Js를 예를 들어 설명해보자. Js는 싱글 스레드 언어로, 코드가 작성된 순서대로 작업을 처리한다. console.log("a") console.log("b") console.log("c") //a b c 즉, 이와같이 여러개의 작업이 있을 때 앞의 작업이 끝나길 기다린 후, 뒤를 순서대로 실행하는 방식 을 동기적 방식이라고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와중에 다른 작업이 불가능하도록 막는 것을 블로킹 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와 반대되는 것이 비동기 처리이다. 즉, 여러개의 작업을 동시에 실행시키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렇기에 동기처리는 직렬로, 비동기처리는 병렬로 처리가 일..
-
[HTTP] Method(get, post)카테고리 없음 2023. 3. 13. 21:25
1. HTTP Request Method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요청시, 데이터 전달 방식 2. GET (뭔가를 얻는 것이 목적) 1) get 란? : 특정한 리소스를 가져오도록 요청함. 이 요청은 데이터를 가져올 때만 사용해야함. 요청 URL에 데이터를 붙여서 전송(얻기) * 링크 뒤에 내용이 붙으므로 너무 긴 것은 안되며(즉, 길이에 제한이 있다), 전송 데이터가 링크에 그대로 노출이 되는 것이므로 전송데이터 노출에 따른 위험이 있음. 그러므로 잘 선택해서 써야함 3. POST(서버에 주는 것이 목적) 1) 정의 :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함. *당연히 길이의 제한이 없으며.. HTTP REQUEST BODY 에 데이터를 담으므로 노출 안 됨(그렇다고 POST의 보안이 좋다는 건 아님. 보안을 높이려면..
-
[프로그래머스] 중앙값 구하기카테고리 없음 2023. 3. 13. 20:58
1. array.sort() : sort() 는 정렬메소드로, 기본 정렬 순서는 문자열의 유니코드 코드를 따른다. 그렇기에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숫자에 따라 sort를 할 수 있도록 적어주어야 한다. array.sort((a,b) => a-b) 2. 내 풀이 const solution = (array) => array.sort((a,b) => a-b)[(array.length/2) - 0.5] // Math.floor 을 사용했다가.. 어차피 항상 0.5 가 남을테니까 걍 0.5 를 뺐다. ..이게 더 복잡하려나. 3. 후기 : 맨처음에 array.sort((a,b) => a-b) 를 안 해주고는 뭐가 잘못됐는지 몰라 한참을 헤맸었다. 숫자를 정렬할 때는 저걸 꼭 써줘야한다는 걸 명심하자! 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