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Part 01. Hello world : 자료형
    이노베이션캠프/사전캠프: Js 공부 2023. 5. 12. 14:06

    > 주절주절 : 아침에 너무 일찍 일어나니까, 하루가 너무 길다 ㅋㅋㅋㅋ ㅜㅜ 

     

    * Js 의 변수는 자료형과 관계 없이 모두 데이터일 수 있음. 

    이처럼 자료의 타입은 있지만 변수에 저장되는 값의 타입은 언제든 바꿀 수 있는 언어를 '동적 타입' 언어 라고 함.

     

    1. 숫자형(number type)

    - 정수 및 부동소수점 숫자(floating point number)를 나타냄

    - 숫자형과 관련된 연산 (대표) : 곱셈(*) 나눗셈(/) 덧셈(+) 뺄셈(-)

    - Infinity : 어떤 숫자보다 더 큰 특수 값, 무한대

    : 어느 숫자든 0으로 나누면 얻어낼 수 있음

    : Infinity 를 직접 참조하는 것도 가능함 

    alert( Infinity ); // 무한대

     - NaN : 숫자가 아님. 계산 중 에러가 발생했음을 알려주는 값.

    : 말도 안되는 연산을 하더라도 Js에서는 치명적인 에러까지 되지는 않음. NaN을 반환하며 연산이 종료될뿐..

     

    2. BinInt

    - 길이에 상관없이 정수를 나타낼 수 있음

    - 암호 관련 작업 같이 아주 큰 숫자가 필요하거나, 아주 높은 정밀도로 작업을 해야할 때 사용하기 유용

    - 정수 리터럴 끝에 n을 붙이면 만들 수 있음

    // 끝에 'n'이 붙으면 BigInt형 자료입니다.
    const bigInt = 1234567890123456789012345678901234567890n;

    - 자주 쓰이지는 않음(표준으로 채택된지도 얼마 안 됐음(

    - 호환성 이슈 있음. 확인하면서 사용(이 글이 작성된 시점엔 Firefox, Chrome, Edge, Safari에서만 지원, IE에서는 지원이 안됐음)

     

    3. 문자형

    - Js 에서는 문자열을 따옴표(" ")로 묶음

    - 세 가지 종류

    1) 큰 따옴표 : "Hello"

    2) 작은 따옴표 : 'Hello'

    3) 역따옴표(백틱, backtick) : `Hello`

    - 큰 따옴표와 작은 따옴표는 '기본적인' 따옴표로, Js에서는 이 둘의 차이가 없음

    - 역따옴표 : 변수나 표현식을 문자열 중간에 넣기 편함 ( ${...} 로 감싸서 넣으면 됨)

    let name = "John";
    
    // 변수를 문자열 중간에 삽입
    alert( `Hello, ${name}!` ); // Hello, John!
    
    // 표현식을 문자열 중간에 삽입
    alert( `the result is ${1 + 2}` ); // the result is 3

    - 글자형은 따로 없음.

     

    4. 불린형

    - 값 : true, false

    - 비교결과를 저장할 때도 사용됨

    let isGreater = 4 > 1;
    
    alert( isGreater ); // true (비교 결과: "yes")

     

    5. null 값

    - 지금까지 나온 자료형 중 어느 자료형에도 속하지 않는 값

    - null 값은 오로지 null 값만 포함하는 별도의 자료형을 만듦. 

    - Js 의 null : 존재하지 않는 값, 비어 있는 값, 알 수 없는 값

     

    6. undefined 값

    - null 값 처럼 자신만의 자료형을 형성

    - 값이 할당되지 않은 상태

    - 변수는 선언했지만, 겂을 할당하지 않았을시 해당 변수에 undefined 가 자동으로 할당됨

    - undefined 를 직접 할당하는 걸 권장하지는 않음. 변수가 비어있거나 알 수 없는 상태라는 걸 알려주려면 null 사용하기

    undefined 는 값이 할당되지 않은 변수의 초기값을 위해 예약어로 남겨두자

     

    7. 객체와 심볼

    - 객체 : 데이터 컬렉션이나 복잡한 개체를 표현할 수 있음

    ( <-> 원시 자료형 : 문자열이든 숫자든 한 가지만 표현 가능)

    - 심볼형 : 객체의 고유한 식별자를 만들 때 사용함. 

     

    8. typeof 연산자

    - 인수의 자료형을 반환해줌

    // 연산자: 
    typeof x
    // 함수:
    typeof(x)

    괄호가 있든 없든 결과는 동일함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