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TIL] IT 5분 잡학사전 Ep. 16~21
    카테고리 없음 2023. 2. 23. 02:58

    *오늘 TIL 3줄 요약

    • 브라우저 엔진을 통한, '웹브라우저가 000을 지원합니다.'
    • 쿠키는 웹사이트 서버에게 보내는 영수증 같은 것
    • 프런트엔드, 백엔드, 데브옵스


    *TIL (Today I Learned) 날짜

    23.02.23

    *오늘 읽은 범위

    Ep. 16~21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한때 시장 점유율이 95%였다..(말도 안돼,,)
    • 개발한 웹브라우저의 핵심프로그램을 "브라우저 엔진" 또는 "렌더링 엔진" 이라고 한다. (파이어폭스:게코, 사파리:웹킷, 크롬:블링크) 이 엔진이 웹 브라우저의 성능을 결정한다! 즉, 엔진이 최신 표준안, 최신 기술을 지원한다면 최신 웹브라우저가 되는 거다.
    • 쿠키란, 어떤 웹 사이트에 방문했을 때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의 보관하는 기록이다. 쿠키는 도메인 1개에만 한정한다, 쿠키는 자동으로 보낸다, 쿠키는 컴퓨터에 자동으로 저장된다 의 규칙들이 있다. (그렇다면, 페이스북은 우리가 접속한 다른 사이트를 어떻게 아는거지? 블로그에 페이스북 좋아요를 누르면, 이건 페이스북 좋아요이니까 페이스북에서 쿠키를 얻을 수 있는 거다.)
    • 프런트엔드는 기술변화 속도가 매우 빠르다. 계속계속 공부해야함. (아이고,,) 자바스크립트 피로 라는 단어가 있을 정도임.............
    • 서버는 항상 켜져있는 컴퓨터이면서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고 접속 요청에 응답하는 컴퓨터이다. 
    • 프런트엔드, 백엔드 개발후 그걸 서버에 올리기 위해 서버를 고르고, 설정하고, 서버에 소프트웨어도 설치하고, 데이터베이스 설정도 하고, 보안도 신경쓰는 등 여러가지 일을 하는 사람을 데브옵스 개발자라고 한다. 
    • 원래 서버는 24시간 깨어있어야하나 서버리스는 함수를 잠들게 해놨다가 요청이 올 때 깨워 요청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나서 다시 함수는 잠들게 한다. 이를 통해 전력을 아끼고,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서버를 돌리는걸 서버리스라고 한다. 이런 서버리스의 단점으로는 1)서버리스의 함수는 잠에서 깰 때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콜드 스타트), 2) 서버 제공자에게 지나치게 의존한다는 점 이 있다.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아무래도 컴퓨터공학을 전공했다보니 완전 어렵다, 처음 들어본다, 이런 것들은 없었다. 하지만, 그냥 익숙해져서 흘려들었던 것들에 대해 다시 생각하고 정확히 알 수 있던 시간이라 좋았다! 그리고 데브옵스나 서버리스에 대해서는 아예 몰랐는데 이번 시간을 통해 알게되어서 좋다 ㅎㅎ 이제,,,완전 바보에서는 조금 탈출,,,,ㅎㅋ

    그리고 진짜.. 기술은 끊임없이 발전하는 구나. 짱짱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서버리스란?

    서버리스(serverless)란 개발자가 서버를 관리할 필요 없이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개발 모델입니다.

    서버리스 모델에도 서버가 존재하긴 하지만,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와 달리 추상화되어 있습니다. 클라우드 제공업체가 서버 인프라에 대한 프로비저닝, 유지 관리, 스케일링 등의 일상적인 작업을 처리하며, 개발자는 배포를 위해 코드를 컨테이너에 패키징하기만 하면 됩니다.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은 배포되고 나면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스케일 업되거나 스케일 다운됩니다. 퍼블릭 클라우드 제공업체의 서버리스 오퍼링은 일반적으로 이벤트 기반 실행 모델을 통해 온디맨드로 미터링됩니다. 그러므로 서버리스 기능이 유휴 상태일 때는 아무런 비용도 들지 않습니다.

    https://www.redhat.com/ko/topics/cloud-native-apps/what-is-serverless

     

    서버리스란?

    서버리스(serverless)란 개발자가 서버를 관리할 필요 없이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개발 모델입니다.

    www.redhat.com

    // 서버리스 란, 정확히 말하면 클라우드 네이티브 "개발 모델" 인 거구나. 머라고 정의해야하는지 헷갈렸었다. 


    오늘 읽은 다른사람의 TIL (=오늘은 나의 최애 북틸 3개 정하기 ! 미션임)

    1)

    노개북...6일차..(부제 : 오늘 살짝.. ..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노개북...6일차..(부제 : 오늘 살짝.. 힘들엇다..)

    오늘 TIL(Today I Leared)날짜 2023/02/22 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 16 - 에피소드 21 책에서 기억하...

    blog.naver.com

    - 선정이유, 소감 : 즐거운 드립과 작성자분의 깨달음이 조화로운 TIL ! 일하고 계신 직장인분이라 그런지 뭔가 지식과 경험의 폭이 넓다(!) 내가 알지 못하는 세계를 살짝 엿보고 온 것 같아 최애 북틸로 선정

    2)

    TIL(2022.02.22) - Day6 (notion.site)

     

    TIL(2022.02.22) - Day6

    Assignment #06

    uncovered-television-522.notion.site

    - 선정이유, 소감 : 어쩜 이렇게 깔끔하게 내용을 정리하셨을까앙,, 짱짱! 게다가 읽은 범위도 하나하나 소제목을 포함하여 쓰셨다,,,, 나는 이렇게,, 체계적이고 깔끔하고 확실하게 정리하는 분들이 너무 좋당,, 나는,, 그냥,, 최소한으로 지켜서 하려고 하다보니 이런 분들이 멋있게 느껴지는 것 같다. 게다가 마지막에는,, 척척 알아서 3줄 요약 정리 후기까지,, 이런게 바로 자기주도 학습 아닐까용? 재능수학을 잘하셨나보다(눈높이인가,,,)

    3)

    04. [IT 5분 잡학사전] TIL Day 4 & Misson 1 (velog.io)

     

    04. [IT 5분 잡학사전] TIL Day 4 & Misson 1

    에피소드 16 ~ 21 / 불편함을 삼키지 말자 / 역시 브라우저랑 쿠키 이야기가 제일 재밌다

    velog.io

    - 선정이유, 소감 : 뭐 이리 깔끔하게 정리하셨대,, 다시 한 번 쏙쏙 이해가 가는 시간이었다. 그리고 소감으로 브라우저 익스텐션을 강조해주셔서,,^^ 찔리고 왔다. 나도 이번 코스에서 JSON 관련 익스텐션,,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내일 코스마무리 지으면서 설치해야징 ㅎㅎ

     

    // 어후,, 다들 너무 멋있당,,, 짱짱걸맨들이 이렇게 많았다닝,, 나도 같이 열심히 해야지 ㅎㅎ

    이번에 챌린지들을 하며,, 많은 위안과 힘을 얻는다. 처음 학교에 입학했을 때 나만 못하는지 알고, 나는 과를 못살리겠구나 하면서 지레 겁먹고 상처받고 질질 짰었는데.. 그래도 학교 수업 포기하지 않고 듣고, 지금도 이렇게 공부를 하다보니 느끼는 것이, 어려운 부분은 모두가 어려워하는 구나. 나만 어려워하는게 아니구나 하는 거다. 그니까,, 내가 심각한 바보인 건 아니였구나. 그냥 열심히, 꾸준히 해나가면 되는 거였구나. 괜히 겁먹고 주저앉을 뻔했던 거구나 그런 것들을 느끼게 된다. 과거의 나를 위로해줄 수 있는 그런 깨달음들. ㅎㅎ. 되게 좋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