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베이션캠프/리액트 연습주차

[TIL] 옵셔널 체이닝(optional chaining)

개린이다 2023. 7. 11. 17:32

* 문제상황

: 강의에서 옵셔널 체이닝을 쓰면 된다고 하는데, 뭔지 몰라서 찾아봄

 

* 옵셔널 체이닝 '?.' 이란?

- 체인의 각 참조가 유효한지 명시적으로 검증하지 않고, 연결된 객체 체인 내에 깊숙이 위치한 속성 값을 읽을 수 있음

- ?. 연산자는, 참조자가 nullish(null 또는 undefined)라면, 에러가 발생하는 대신 표현식의 리턴 값은 undefined로 단락됨. 함수 호출에서 사용될 시, 주어진 함수가 존재하지 않으면 undefined를 리턴함

 

* 현재 상황에 적용하여 이해

- 비동기로 이루어지는 상황을 해결하기 위함 

 

*참고 자료

https://coding-farmer.tistory.com/4

 

옵셔널 체이닝(optional chaining)의 개념 및 장점을 알아보자

목차 지난 게시물 nullish 연산자에 이어 옵셔널 체이닝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옵셔널 체이닝(optinal chaining)연산자 개념 optional chaning연산자 (?.)는 객체 내의 key에 접근할 때 그 참조가 유

coding-farmer.tistory.com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Operators/Optional_chaining

 

Optional chaining - JavaScript | MDN

optional chaining 연산자 (?.) 는 체인의 각 참조가 유효한지 명시적으로 검증하지 않고, 연결된 객체 체인 내에 깊숙이 위치한 속성 값을 읽을 수 있다.

developer.mozilla.org